
희망저축계좌2란?
물가도 오르고 생활비도 빠듯한 요즘, 매달 10만 원씩만 꼬박 모았는데 3년 뒤 천만 원이 손에 들어오면 누가 들으면 혹 할 만큼 솔깃하지요. 저도 처음엔 “설마 그게 가능할까?” 싶었는데, 사실 정부에서 운영 중인 제도더라고요. 누가 대상에 포함되고, 어떻게 신청할 수 있는지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요즘처럼 살림살이 팍팍한 시기에, 정부에서 착실히 일하는 서민 가정에게 큰 힘이 되어주는 저축제도가 바로 ‘희망저축계좌2’입니다. 이름은 좀 낯설 수 있어도, 한 번 구조를 알고 나면 “이런 혜택을 왜 몰랐지?” 싶으실 거예요.
이 제도의 핵심은 간단합니다. 내가 매달 10만 원씩 3년 동안 차곡차곡 적립하면, 나라에서 근로소득장려금이라는 이름으로 덤을 얹어주는 방식이에요.
단순 계산만 해도, 본인이 넣는 돈은 총 360만 원인데, 여기에 정부가 얹어주는 금액이 무려 720만 원이나 됩니다. 이자까지 포함하면 최종적으로는 1,080만 원을 훌쩍 넘는 목돈이 마련되는 셈이죠.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2025년부터는 이 장려금이 해마다 조금씩 올라간다고 해요. 특히 마지막 해인 3년 차에는 무려 월 30만 원까지 지원된다고 하니, 일하면서 저금하는 분들에게는 정말 고마운 제도가 아닐 수 없어요. 이런 방침은 “성실히 일하는 사람에게 확실한 보상을 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담긴 정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소득 기준 확인하기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일을 하고 있는가’입니다. 현재 안정적으로 일하고 있으며 월급이나 사업소득 등 일정한 수입이 있는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하지만, 정부에서 직접 제공하는 어르신 일자리나 공공근로와 같은 프로그램은 포함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소득 기준도 중요합니다. 아무리 열심히 일하더라도 소득이 많으면 이 제도의 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중위소득 50% 이하’라는 기준이 적용됩니다.
이 의미는 나라에서 정한 중간 수준의 생활비 기준보다 낮은 소득을 가진 분들을 가리킵니다. 주거급여나 교육급여를 받는 가정, 그리고 차상위 계층에 해당되시는 분들은 대개 소득 요건을 충족합니다.
신청 방법
신청은 오직 주민센터에서 가능합니다. 이때 본인 신분증은 필수이며, 몇 가지 서류도 챙겨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신청서, 동의 확인서, 소득 체크를 위한 자가진단표와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 등이 필요합니다.
2025년 10월 1일부터 24일까지는 3차 모집 일정으로, 이 기간 내에 신청을 서두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마감일을 놓치면 다음 기회를 기다려야 하므로, 저는 항상 빠르게 신청하시기를 권장합니다.
신청 후 즉시 통장이 생기는 것은 아니며, 심사 기간이 있습니다. 대상자는 12월 1일부터 12일 사이에 결정될 예정입니다.
선정이 되면 통장 개설을 해야 합니다. 해당 기관으로 가서 12월 16일부터 30일까지 계좌를 개설할 수 있으며, 이때도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합니다.
지원금 수령을 위한 유의사항
나라에서 주는 지원금을 모두 받으려면 지켜야 할 사항이 꽤 많습니다. 특히 중간에 그만두거나 입금을 오래 쉬게 될 경우 큰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지원금 유지의 중요성
예를 들어, 1년 넘게 납입을 멈추거나 갑작스럽게 일을 그만두면 어떻게 될까요? 그동안 나라에서 쌓아준 장려금은 아쉽게도 전부 반납해야 합니다. 남는 것은 오로지 내가 낸 원금과 은행에서 붙은 이자뿐입니다. 따라서 마음 단단히 먹고 3년을 꽉 채우는 것이 제일 현명합니다.
또한, 단순히 입금만 하고 있으면 되는 것이 아닙니다. 나라에서는 ‘자립교육’이라는 필수 교육이 있습니다. 총 10시간 정도 배우는 이 교육을 이수하지 않으면 아무리 조건을 잘 맞춰도 지원금 지급이 막힐 수 있습니다. 꼭 챙기셔야 할 부분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함입니다. 한 달에 10만 원 이상씩 모아야 하고, 일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조건이 3년 동안 이어졌을 때 비로소 1,000만 원이 넘는 목돈이 내 손에 들어오게 됩니다.
마무리
내가 직접 만든 통장이지만, 그 안에 나라가 보태주는 정성까지 더해지면 단순한 돈 이상의 의미가 됩니다. 손에 쥔 10만 원이 적은 금액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 제도를 잘 활용하면 그 돈이 3년 후에는 큰 희망으로 돌아옵니다. 조금만 관심을 두면 내가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것은 금방입니다. 괜히 “나는 아닐 거야” 하고 지나치면 놓치는 아까운 제도가 될 수 있습니다.
추천 글
2026 전국 마라톤 일정표|참가비·코스·신청기간 확인